어서 오세요. 토막 문장에게 희망을 주는 공간입니다. 기부를 하셔도 되고 가격이 맞으면 제가 사기도 합니다. 사실 일을 시작한 지 5년이 지났는데 성과가 신통치 않아요. 문장이 모이는 속도도 느리고, 찾는 분들도 없고요. 그래서 이렇게 지면을 빌려 보기로 합니다. 저희 사무실은 서울 동남쪽에 있어요. 방문이 필요한 건 아니니 오해는 마세요. 명함을 만들다 보니 주소가 필요했거든요. 물론 오시면 기념 책자 정도는 드려요. 작년에 출간된 ‘문장의 수난사’가 제 방에 백 권쯤 쌓여 있답니다.
오래전 누가 그래요. 토막은 완전체가 있었다는 전제가 필요한 거 아니냐고요. 네, 맞는 말입니다. 그런데 언젠가 있을 예정이지만 아직 없다면 뭐, 미래에서 왔다 쳐도 되지 않을까요? 그러니까 여기는 예정 없이 불쑥 나온 문장을 수집하는 곳인 겁니다. 어차피 그 문장들이 언제 빛을 볼지도 모르고, 또 주인 없는 글이 워낙 많기도 하고요. 한때 누군가에게 소중했던 문장이 다른 누군가에겐 쓰레기가 될 수도 있겠지요. 여하튼 그래서 저는 토막을 계획되지 않은, 혹은 예정에 없다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사람마다 배우는 시간이 다르듯 문장도 성장하는 시간이 다 다르니까요. 여담이지만, 사실 문장 같은 건 천 개쯤 세상에서 사라져도 아무도 모를걸요. 그러니까 저는 수많은 문장에게, 토막 문장에게 정말 희망을 주는 셈이에요. 언젠가 멋진 글이 될 수도 있다고요.
영업시간이 의미는 없지만 사무실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열려 있어요. 혹 방문하실 예정이면 미리 연락 주시길 바라요. 한동안 출근이 뜸했는데 하필 직원도 저 혼자거든요. 그래도 나름 잘 꾸며두어서 볼 만은 할 겁니다. 사무실에 나무가 이렇게 많다니! 분명 놀랄 테지요. (제가 커피도 좀 타거든요.) 그럼, 오늘도 문장이 당신과 함께 하기를! 그럼, 길 잃은 문장이 어서 빛을 찾기를! 안 되겠어요. 마지막 부분은 다시 드릴게요. 그리고 쓰다 보니 그동안 문제가 뭐였는지도 조금 알 것 같아요. 참, 제가 식당을 하나 봐두었는데 이따 같이 가실래요? 묻고 싶은 게 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