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낚시 간다는 소문이 있던데?”
“난 그냥 술 마시러 가는 거지요. 언제 날 잡아서 놀러 와요. 같이 가보게.”
“궁금해요. 바다를 이렇게 좋아하는데 낚시를 몰라서.”
“고기는 못 잡을 때가 더 많답니다.”
2.
“어제 물어보려 했는데, 예전에도 이런 시도 한 적 있지 않아요?
“한두 번 했었는데 말은 안 걸었어요.”
“그러셨구나.”
“그냥 구경만 하다가 한 2주일 지나서 다시 무섭고 그렇길래 탈퇴했지.”
“뭔가 새로운 걸 해보는 건 어때요? 환기도 시킬 겸.”
“뜨개질 모임 가입했다고요.”
“아, 뜨개질. 지구력이 좋아요? 재미가 있어서인가.”
“아는 분이 추천해줬어요. 그리고 어제 생각한 건데, 이렇게 또 무섭고 불안해지면 빨리 벗어날 방법을 찾아야겠어요. 괴롭힐 사람을 만들던가.”
“죄지었냐고요. 왜 그렇지?”
“모르겠어요. 사람들이 나 싫어할까 봐, 가까이 가면 피해 줄까 봐 걱정도 됐고.”
“무슨 출생의 비밀이라도 있어요?”
“성장의 비밀은 몇 개 있었는데.”
“그런 건 죄지었을 때나 느끼는 건데.”
“그냥 쌓아 두고 있던 게 폭발했나 봐요. 아닌 척하고도 잘 살았는데. 예전엔 별거 아니었던 일도 하나씩 생각나고, 그렇게 피해줬구나, 언젠가 이렇게 벌 받는 거다, 내가 사람들이랑 뭘 하겠나, 등등.”
“그대도 참 파란만장하오.”
“민지님은 대놓고 보이는 괴로움이 많았을 거고 난 숨기고 산 게 너무 많았어요. 그게 혼자 병을 만든 것 같아요.”
“그래 보여요.”
“가면도 많았고. 오늘은 또 어떤 척해볼까 매일 고민하다가 망치고.”
“사람 한 번에 바뀔 수 있나요. 숨긴 것들도 하나씩 토해내 봐요. 내가 보기엔 그동안 값은 다 치른 것 같은데.”
“그 얘기 몇 번 해줘서 좋았어요.”
“완벽하면 부처지 뭐. 그리고 가면은 누구나 있는 거 아닙니까. 나도 알고 보면 무식한 핵폭탄인데.”
“그러면 다행이고요.”
3.
“사람 만나는 것도 그냥 마음이 시키는 대로 해봐요. 사기도 당해 보고 싸워도 보고 욕도 해보고, 그러다 좋게 지내기도 해보고. 그러면서도 남은 사람이 결국 친구 아닐까. 하여튼 그동안 방황한 거로 과거까진 모르겠으나 힘들었던 건 청산했다 쳐요. 내 명을 걸고 그만하면 충분하니 그러지 말아요.”
“그렇다고 해봅시다.”
“대가라면 그건 다 치렀겠지 뭐. 이제 우리 철듭시다.”
“난 철들기 싫은데. 먼저 들어봐요. 보고 괜찮으면 나도 들게.”
“체질인갑소. 7살 떼쟁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