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1994

콤플렉스

십여 년 전, 신촌에서 한 강의를 듣고 있었다. 진로 문제로 고민이 많을 때였는데 하루는 강사가 대학 때 만난 친구 이야기를 해준다. 강사는 신문방송학과를 나왔고 그 친구는 도서관학과를 나왔다고 했다. (도서관학은 이제 문헌정보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강사는 졸업하고 한 광고회사에 들어갔는데 어느 날 친구를 보니 대학원을 다니고 있더란다. 그것도 같은 전공인 도서관학으로. 그래서 강사는 친구에게 너 대학원은 왜 간 거냐, 졸업했으면 나처럼 취업하고 돈도 벌고 해야지, 하고 물었단다. 도서관학으로 취업도 힘들 텐데 대학원까지 다닌다니 조금 이해가 안 갔다고. 그러면서 친구에게 너 혹시 학력 콤플렉스 있냐, 하고 물었는데 친구는 그런 건 아니라고 하더란다. 그리고 몇 년이 지난 어느 날, 강사는 한 회사에 업무차 방문했다가 같은 회의실 구석에서 뭔가를 열심히 적는 친구를 발견했단다. 강사는 반가운 마음에 인사를 건네면서 이렇게 말했단다. 너 고작 이런 거 하려고 그렇게 대학원 다니고 그런 거냐. 그렇게 공부했으면 인마, 좀 다를 줄 알았는데. 그리고 강사는 잠깐 뜸을 들이더니 우리에게 말한다. 여러분, 포스코 알죠. 예전 포항제철. 그때 제가 방문했던 회사가 포스코예요. 그리고 이 친구가 지금 거기 사장이에요. 대표이사. 그때는 얘가 학력 콤플렉스가 있나 싶었는데 나중에 보니 그게 아니더라고요. 이 친구는 멀리 본 거였어요. 저는 지금 여기에서 강의하고 있지만, 이 친구처럼 대학원 나오고 한 사람들은 대학에서 강의해요. 저한테도 가끔 문의가 와요. 강의 한 번 해줄 수 있냐고. 이런 건 어떻냐고. 그런데 저는 대학에서는 강의를 못 합니다. 왜냐면 석사가 없거든요. 여러분, 기회가 되면 대학원은 꼭 가보세요. 전공이 뭐가 됐든, 물론 전공도 중요하지만 일단 석사가 있으면 길이 달라져요. 언젠가 나이 들고 은퇴하면 그 경험을 어딘가 전수해줄 기회가 올지 모르는데, 석사가 있으면 그게 대학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때 이 친구가 대학원을 안 갔어도 사장이 됐을까요? 아니. 난 그렇게 생각 안 해요.

강사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는 어쩐지 심장이 뛰었다. 역시 기회는 준비된 사람에게 오는구나 싶어서 나도 뭔가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한동안 분주했다. 그리고 일 년 뒤, 노트에 ’30대가 지나기 전에 꼭 해보고 싶은 일’을 적다가 ‘석사 가져보기’를 넣었다. 그때 강사가 해준 이야기를 떠올리면서 전공은 상관없으니 그냥 가져보자고 했다. 그리고 이게 시작이 되어서 지금도 가끔 생각한다. 막상 시작하면 재미도 없을 공부를 꼭 해야 하는지, 굳이 학교에 다녀야 할 이유가 있는지 스스로 물어본다. 오래전 강사가 친구에게 했다는 질문도 내게 던져 본다. 그리고 이렇게 답한다. 그래, 나 학력 콤플렉스 있다. 그래서 공부도 하고 싶고 뭐라도 해야 열등감이 채워질 것 같아서, 그래서 못 놓는 거다. 하지만 고민은 결국 회사와 돈, 그리고 시간의 문제였다. 내가 쓴 시간만큼 보상이 올까, 졸업하면 뭔가 달라질까, 나는 답부터 알고 싶었다. 어쩌면 그만큼 간절하지도 않고 순수하지도 않기 때문일 거다. 그래서 고민은 계속된다. 올해 3월에도 학교를 가볼까 했지만 역시 생각만 하다가 말았고, 그래도 돌아오는 가을에는 꼭 가야지 생각하면서 때를 기다린다. 매년 기계처럼 반복되는 일이다.

욕조로 고민하는 이야기

1.
“저 눈 떴어요. 인사하고 싶어요.”
“○○님 굿모닝이요.”
“좋은 아침입니다.”
“몇 시간 주무셨어요?”
“어제 여기에 말하고 잠들었으니까 어디 보자. 여섯 시간이요.”
“오 나쁘지 않네요.”
“더 자고 싶은데 이렇게 눈 뜨면 긴장돼서 잠이 안 와요.”
“그렇죠. 딱 한 시간만 더 자면 개운할 것 같은데. 저도 최대 수면시간, 마그네슘 먹어도 여섯 시간.”
“이제 뭐 하지. 게임 할까요, 글을 쓸까요. 집에 욕조 있으면 이럴 때 몸도 담그고 엄청 좋겠는데. 노곤하게.”
“저도 아침 반신욕 좋아해요.”

2.
“900렙님 안녕하세요.”
“꼬맹이 안녕. ○○님, 이거 사요. 진짜 짱 좋음. 작아서 좁은 욕실도 가능. 물이 잘 안 식어요. 물도 일반 욕조보다 조금 들어가고 거꾸로 앉으면 온욕도 가능. 싸고 좋습니다.”
“가끔 고민해요. 저렇게 쓰다가 거실 물바다 되는 거 아닌가 싶어서. 근데 난 반신 말고 전신이 좋은데. 현주님 욕조 샀어요?”
“전신 된다니까요. 거꾸로 앉으면 전신, 의자로 앉으면 반신.”
“욕조 샀냐고요.”
“산 지가 언젠데. 11월 말이에요.”
“그래요? 저거 어디에 두고 써요? 불편한 점은? 단점은?”
“단점 0. (사진) 덮개도 있고요.”
“뭐야, 공간 별로 안 차지하네. 큰 요강 같기도 하고.”
“깊은 쪽으로 앉으면 전신욕 돼요. 나랑 키도 비슷하잖아요. 쪼꼬미.”
“자네 키가 얼마길래?”
“65.”
“나 욕조 고민한 지 2년은 넘은 것 같은데. 내 키에도 괜찮을까. 여자용 아닐까요?”
“괜찮소. 키 작은 거 다 알아요.”
“아니거든요.”
“세트로 사면 덮개랑 버블 기계랑 사우나 가운이랑 다 줘요.”
“남자 후기도 있는지 찾아봐 주세요.”
“들어가 보면 되잖아.”
“아예 큰 욕조를 매립해버릴까 생각도 했어요. 룸메가 서울에 집 구하면서 그 집에 욕조를 매립했다더라고요. 그런데 왠지 욕조 사면 또 한두 번 해보고 물 채우기 귀찮고 앉아 있기 조바심 나서 안 할 것 같지 않나요.”
“여기 후기 있네. 키 176인데 작지도 않고 일주일에 2번 정도 사용하는데 피로가 풀리고 정말 좋아요. ○○님보다 키 큰데 괜찮대요.”
“나보다 작은데.”
“뻥치지 마요.”
“더 큰 사람 후기 찾아봐요. 진짜거든?”
“거짓부렁 혼난다.”
“오늘은 욕조로 고민하는 이야기를 써야지.”
“단점 딱 하나 있다. 가운데 좌욕 구멍. 저기 물이 안 빠져요. 그런데 세워 놓으면 상관없어요.”
“그럼 그냥 큰 대야인가.”
“신림에 살 때 큰 대야 있었어요.”
“이제 6시. 씻고 회사나 갈까.”
“욕조 사요, ○○님. 진짜 후회 안 해요. 이사 와서 제일 잘 샀다 싶은 것, 건조기, 욕조, 매트리스.”
“건조기는 인생 재탄생템이에요.”
“욕조도 그 정도입니다.”

일 없는 지옥

“사람은 왜 일해야 하나요?”
“사람은 너무 게으르고 오만해서 일하는 벌을 받은 것 같습니다.”
“부자는요? 전생에 덕을 쌓았나요?”
“글쎄요. 태어날 때 로또를 돌리는 것 같습니다. 우린 다 꽝이에요.”
“어디서 이런 유머글을 봤어요. 어떤 사람이 죽어서 천국에 갔더니 먹을 것도 주고 게임도 주고, 원하는 대로 다 해줬대요. 그런데 너무 심심해서 일을 달라고 했더니 누가 그러더래요. 여기가 일이 없는 지옥이라고.”
“일 없는 지옥이라니. 지난주에 너무 많은 생각을 했더니 머리가 지쳤어요. 저 같은 사람을 위해 있는 것 같습니다, 일은. 생각만 하다가 궤멸하지 말라고.”

효민

“세상은 나 없이도 왜 잘 돌아가니.”
“원래 그래. 회사도 나 없이 잘 돌아가고.”
“어떻게 지내? 재미있는 소식 있으면 줘 봐.”
“그대야말로 어떻게 지내는 거야? 서울이야?”
“난 서울이지. 조용히 그냥.”
“보고 싶다. 본집에서 살아? 하도 연락 없어서 죽은 줄 알았어.”
“아니. 혼자 버티면서 살아.”
“어디서? 전화할게. 받아 봐.”
“나 아직 회사야. 이따가.”
“뭐야. 회사는 어디로 다녀?”
“일곱 시쯤 퇴근이긴 한데. ○○○에 있어.”
“형, 나도 잘됐어.”
“이따가 전화할 테니 자랑이나 해봐.”
“오늘 회식이라 옆에 사람 있어서 자랑은 못 하고, 정규직으로 와서 잘 다니고 있어.”
“좋은 날이구나, 회식.”
“하, 섭섭했는데. 연락도 없이 사라져서.”
“섭섭하기는.”
“한번 보자 진짜.”
“지금 시간 돼? 잠깐 목소리나 들을까.”
“그래. 내가 전화할게.”